전체 26건
김지희 교수 연구실 'NAACL 2025' 논문 채택
김지희 교수 연구실 (정수채, 최인성, 윤영식)Natural Language Processing 분야 Top Conference ‘NAACL 2025’ 논문 채택▲(왼쪽부터) 정수채 학부연구생, 최인성 학부연구생, 윤영식 박사과정, 컴퓨터AI학과 김지희 교수컴퓨터AI학과 김지희 교수 연구팀 (정수채 학부연구생, 최인성 학부연구생, 윤영식 박사과정)이 Natural Language Processing 분야 Top Conference인 NAACL 2025에 발표한 논문이 최종 채택되었다.NAACL (North American Chapter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2025는 ACL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에서 주관하는 자연어 처리 및 인공지능 분야의 최고 권위 학회 중 하나로, 최신 연구 동향과 혁신적인 기술을 다루는 중요한 학술 행사이다. NAACL 2025는 오는 4월 29일부터 5월 4일까지 뉴 멕시코 주의 앨버커키 컨벤션 센터에서 개최될 예정이다.논문 제목은 ‘Culture-TRIP: Culturally-Aware Text-to-Image Generation with Iterative Prompt Refinement’로, 연구팀은LLM에 Iterative Prompt Refinement 기법을 적용하여Diffusion 모델의 문화적 명사 생성 능력을 강화하는 접근법을 최초로 제안하였다.그림1. 논문에서 제안한 프레임워크 구조(https://arxiv.org/abs/2502.16902 )이 논문에서는 이미지 생성 모델이 그림을 생성할 때 특정 문화권에서 사용되는 고유명사들의 특징을 더 잘 반영할 수 있도록 설명(프롬프트)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연구팀은 그림을 생성할 때 사용하는 설명을 보완하여 보다 풍부한 문화적 특성이 반영되도록 하고, 단일 언어 모델을 이용해 설명들을 여러 번 평가하고 피드백을 생성하여 편향을 감소시켰다.이번 연구에 참여한 정수채 학부연구생은 “저와 최인성 학부연구생은 학부생 신분으로 Top Conference 논문을 적을 수 있을 것이라 상상하지 못했다. 부족한 저희를 아낌없이 지도해준 김지희 교수님과 윤영식 박사과정님께 매우 감사하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조성인 교수 연구팀 'CVPR 2025' 논문 채택
조성인 교수 연구팀 (박재현,전주현, 이재윤, 안상연, 차민희, 김민걸, 남혁)computer vision분야Top conference ‘CVPR 2025’논문 채택▲(왼쪽부터) 컴퓨터AI학과 박재현 박사, 석사과정 (전주현, 이재윤, 안상연, 차민희, 김민걸, 남혁), 조성인 교수컴퓨터AI학과 조성인 교수 연구팀 (박재현 박사, 석사과정: 전주현, 이재윤, 안상연, 차민희, 김민걸, 남혁)이computer vision분야top conference인CVPR 2025에 발표한 논문이 최종 채택되었다.IEEE/CVF에서 주관하는CVPR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학회는 컴퓨터 비전 및 인공지능-패턴인식 분야에서 최고 권위의 학회이다. CVPR 2025는 오는6월11일부터 6월 15일까지 테네시 주 내슈빌 뮤직 시티 센터에서 개최될 예정이다.논문 제목은‘Dynamic Pseudo Labeling via Gradient Cutting for High-Low Entropy Exploration’으로,연구팀은 레이블 정보가 없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딥러닝 모델의 분류 정확도를 최대화하는 준지도 학습 기법 중 새로운 다이나믹 의사 레이블링 프레임워크를 최초로 제안하였다.그림 1. 논문에서 제안한 프레임워크 구조이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딥러닝 모델을 학습시키기 위한 손실 함수로부터 계산되는 딥러닝 모델의 웨이트에 대한 그래디언트를 활용하여 세 가지 학습 상태를 유도한다. 서로 다른 학습 상태가 유도된 분류기로부터 의사 레이블링을 위한 샘플들을 고르기 위한 임계값을 보다 정확하게 계산하였다. 결과적으로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진들보다 다양한 비교 데이터 세트로부터 가장 높은 분류 스코어를 달성하였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박재현 박사후 연구원은“조성인 교수님의 무한한 지도와 연구실 후배들의 아낌없는 도움을 통해 좋은 결실을 맺을 수 있었다.2년 연속CVPR에 논문등재가 확정되어 매우 기쁜 마음이며,앞으로도 더 많은 연구실 학생들이 국제 학회에 논문이 등재하기를 기원한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이강만 교수 연구팀 (김동연, 간예진) 'AAAI 2025' 논문 최종 채택
동국대학교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이강만 교수 연구팀 (김동연 박사과정, 간예진 박사과정)이 Artificial Intelligence분야 top conference인 AAAI 2025에 발표한 논문이 최종 채택 되었다.AAAI(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는 Artificial Intelligence 분야에서 최고 권위의 학회이다. AAAI 2025는 내년 2월 27일부터 3월 4일까지 미국 필라델피아 펜실베니아 컨벤션 센터에서 개최될 예정이다.논문 제목은 ‘T-MDML: Triplet-based Multiple Distance Metric Learning for Multi-Instance Multi-Label Classification with Label Correlation’으로, 연구팀은 multi-instance multi-label (MIML) 데이터 분류에 사용되는 유사성 기반 분류 모델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거리 메트릭 학습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기법은 복잡한 데이터에 존재하는 label correlation을 추출하고, 각 레이블에 특화된 거리 메트릭을 최적화하여 다양한 데이터셋에서 분류 모델의 성능 향상을 달성하였다.그림1. 논문에서 제안한 프레임 워크 구조
동국대 AISW학부팀(이강만 교수 지도) 2024 ICPC 서울 지역 본선 진출
동국대학교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이강만 교수가 지도하는 DART팀(20학번 김상현, 이강욱, 강병민)이 2024년 ICPC Seoul Regional 본선에 진출하였다.ICPC(국제 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시대회)는 1977년 ACM(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주최로 개최된 1회 대회를 시작으로, 매년 전 세계 50개국 이상, 170개 이상 대학의 대학생이 출전하는 최고 권위의 프로그래밍 경진대회이다.대회 본선은 다가오는 11월 22일부터 23일까지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치뤄질 예정이다.본선 진출 공지 링크 :2024 ICPC Seoul Regional 본선 진출팀 공지 – ICPC Korea Regional Site
컴퓨터·AI학과 오용석 학생 인공지능신호처리 포스터세션 우수 논문상 수상
▲ 컴퓨터·AI학과 오용석(석사과정) 학생, 동국대학교동국대학교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조성인교수 연구실 소속 오용석(석사과정) 학생이 인공지능신호처리 학술대회에서 포스터세션 우수 논문상을 수상하였다.수상한 논문 내용은 다음과 같다.논문제목 :다중 광원을 이용한 고반사성 표면 결함 검출논문초록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조명 조건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활용하여 결함 분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autoen coder 기반의 spatial attention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기존 방법들은 단일 조명 조건에서 결함을 분류하기 때문에, 고반사성 물질에서 발생하는 빛의 반사로 이내 정확한 결함 분류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다중 조명 방향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활용하여 결함 영역을 더욱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방법은 UNet 기반 autoencoder 구조를 통해 각 조명 조건에서 촬영된 이미지들의 차이를 학습하고, 이를 통해 결함과 정상 영역 간의 차별적인 특징을 강조하는 attention map을 생성한다. 이 attention map은 조명 방향에 관계없이 결함을 효과적으로 강조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복원된 이미지와 원본 이미지 간의 차이를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학습된다. 마지막으로, 학습된 attention map을 SqeezeNet 모델에 적용하여 중요한 결함 특지을 강조하고 불필요한 배경 정보를 억제함으로써 결함 분류 성능을 향상시킨다. 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멀티 라이트 결함 분류 기법에 비해 오분류를 크게 줄이며, 조명 변화에도 결함 분류 성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그림1. 수상 사진그림2. 제안된 방법 구조
'ICT 챌린지 2024'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수상(김지희 교수 연구팀)
[중앙일보] 과기부 등 '정보통신기술 챌린지' 열어 디지털 인재 연구 성과 공유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80591[시사일보] 과기정통부, 석·박사급 정보통신(ICT) 인재들, 창의적 아이디어 실현방안 겨룬다 : 'ICT 챌린지 2024' 개최https://www.koreasisailbo.com/1528297[ICT 챌린지 2024] 최종수상팀 안내http://www.itrc.or.kr/sub/information/notice.asp?mode=view&bid=1&s_type=&s_keyword=&s_cate=&idx=3462&page=1
동국대, 2024 공학교육인증평가 최고 인증 획득
[대학저널 이선용 기자]동국대학교 공과대학과 AI융합대학은 ‘2024년 공학교육인증평가’에서 최고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공학교육인증제는 Washington Accord 회원국(미국, 영국, 일본, 중국 등 31개국) 간 공학계열 졸업생의 역량과 자질을 국제 기준에 맞춰 평가하는 제도로, 인증받은 학과는 해당 공학교육의 수준이 국제적으로 동등함을 인정받게 된다.이번 한국공학교육인증원(ABEEK) 평가에서는 ▲건설환경공학과 ▲건축공학전공 ▲기계로봇에너지공학과 ▲산업시스템공학과 ▲컴퓨터공학전공 ▲화공생물공학과 총 6개 학과 및 전공이 인증을 획득했다.(중략)자세한 내용은 출처 링크 확인출처 :동국대, 2024 공학교육인증평가 최고 인증 획득 (dhnews.co.kr)
우수SW중심대학 동국대, 산·학·연·지 협력 생태계 기반 교과과정 운영 취업률 85%↑
[에듀플러스] 우수SW중심대학 동국대, 산·학·연·지 협력 생태계 기반 전주기적 교과과정…8개 SW연계전공 운영 취업률 85% ↑동국대 전경 (사진=동국대)소프트웨어(SW) 중심대학 사업은 디지털 전환으로 산업계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SW 핵심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과기정통부가 지원하는 사업으로 2015년에 시작되어 산업체 수요기반 SW교육과정 개편, SW 전공 정원 확대, 비전공자 대상 SW 융합교육 등을 통해 SW 전문·융합인재 양성을 주도해왔다.동국대학교는 2016년에 1차 사업에 선정돼 2021년까지 수행했다. 2023년 재선정되어 6년간 총110억원을 지원받는다. 동국대는 2023년 SW중심대학 2차 사업의 중점 추진 방향을 '플랫폼 대학 중심 국가·사회와 함께하는 대학'으로 설정했다.산·학·연·지 등 다양한 기관이 참여하는 인재양성 생태계 구축했다. '교육편제 혁신 및 전주기적 산·학·연·지 협력교육'을 실현해 전교생 SW융합역량 강화에 힘쓰고 있다. 이와 함께 혁신공유플랫폼을 구축해 다양한 교육 대상에게 맞춤형 SW교육을 제공한다.동국대는 첨단분야 인재 양성을 위해 2022년 인공지능, 데이터사이언스, 엔터테인먼트테크놀로지 등 3개 전공으로 구성된 AI융합학부를 신설했다. 2023년 AI융합학부는 공과대학 컴퓨터공학전공, 멀티미디어공학과와 통합해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로 확대 개편했다.또한 2025년에는 'SW·AI 분야 글로벌 스탠다드 전문역량을 보유한 인재 양성'을 목표로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를 컴퓨터·AI학부로 개편했다. 현재 22명인 전임교원을 AI 및 SW 분야에서 2028년까지 14명 이상 신규 채용해 나갈 방침이다.AI소프트웨어융합학부는 현재 SW중심대학 외에도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사물인터넷·IoT) 사업을 통한 첨단분야 인재 양성에서 우수 평가를 받고 있다. 동국대 관계자는 “대학원 또한 인공지능 융합 혁신인재 양성사업, 대학ICT연구센터(ITRC) 지원사업 및 학·석사연계 ICT핵심인재 양성사업 수행을 통해 학-대학원 연계로 AI·SW 분야 고급 인재를 양성한다”면서 “최근 세계적으로 경쟁력있는 연구 결과를 지속적으로 발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동국대는 2025학년도 수시모집에서 학생부종합·학생부교과·논술전형을 통해 컴퓨터·AI학부 106명을 모집한다. 이 가운데 학생부종합 Do Dream(소프트웨어)전형을 통해 64명을 선발한다. 1단계 서류종합평가 100%로 2.5배수를 선발하고, 2단계에서는 1단계 성적 70%와 면접평가 30%를 합산해 합격자를 가려낸다. 서류종합평가시 학업역량 25%, SW전공적합성 55%, 인성 및 사회성 20%를 반영해 전공적합성을 가장 높은 비율로 평가한다.(중략)자세한 내용은 아래 기사 전문 링크 확인[에듀플러스]우수SW중심대학 동국대, 산·학·연·지 협력 생태계 기반 전주기적 교과과정…8개 SW연계전공 운영 취업률 85%↑ - 전자신문 (etnews.com)
김건우, 강동연, 이태규 2024 국민행복 서비스 발굴·창업 경진대회 최우수상 수상
동국대학교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컴퓨터공학전공 학생들인 김건우, 강동연, 이태규가 팀명 "NO-PROBLEM"으로 "2024 국민행복 서비스 발굴·창업 경진대회"에서 "최우수상(보건복지부장관상)"을 수상했다. (위 사진은 강동연, 김건우, 이태규 순)주제명 : 전국 교통약자 아동지원센터(콜택시 서비스) 정보 통합 애플리케이션, 아울러(A-ulor)개요 : 최근 교통약자의 이동권 보장이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교통약자들은 대중교통과 택시 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교통약자 콜택시 서비스가 전국적으로 시행 중이지만, 지역별로 운영 방식과 필요 서류, 이용 절차 등이 달라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국 교통약자 이동지원센터 정보를 통합한 애플리케이션 '아울러(A-ulor)'가 개발하여, 전국의교통약자들이 개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고 접근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는 긍정적 효과를 얻고자 한다.
박지민, 김도훈, 양승엽 학생 한국정보과학회 KCC2024 학부생 부문 장려상
동국대학교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석문기 교수의 종합설계 팀, 박지민(수학과), 김도훈(컴퓨터공학과), 양승엽(통계학과) 학생이 한국정보과학회 KCC2024 학회에서 학부생 부문 장려상을 수상했습니다.논문 제목: 열화상 온도 임계점 기반 자세 추정 모델을 활용한 흡연 행동 감지 연구논문 초록: 최근 인공지능의 발전으로 여러 시각 기반 솔루션이 흡연 행동 감지에 적용되고 있지만 흡연 행동을 정확 히 분류하는 것은 여전히 도전적인 문제이다. 이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객체 탐지 기술로 담배 꽁초를 분류하여 흡연을 탐지하는 연구들이 있었지만 이는 흡연 행동으로 추정하기엔 공간 및 시계열적 정보가 부족하 고 학습에 필요한 담배 데이터셋 또한 질적 양적으로 부족하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에 제안 연구에서는 열화상 카메라를 사용하여 개인의 신원을 노출시키지 않고도 관절의 공간 구성과 온도 정보를 결합하여 조 도에 상관없이 흡연 행동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한다.<제안 연구 개요>